티스토리 뷰

 

우리가 크게 조정파동을 보게되면 크게 4가지 형태로 분류를 하게 됩니다. 하나는 아주 흔한 지그재그, 플랫, 삼각수렴, 불규칙조정파동 이렇게 4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어떻게보면 비슷한 형태인게 플랫과 불규칙조정파동이 이론도 많이 겹치는 부분도 많다 보니 같이 설명드려보겠습니다.

 

 

불규칙 조정파동의 형태

 

 

일반적으로 지그재그 조정파동이 5-3-5이면 불규칙조정파동은 3-3-5로 표현을 합니다. 3개의 파동 그리고 3개의 파동 마지막 5개의 파동의 형태로 이뤄져 있습니다. 보시면 B파의 꼭지점이 A파의 시작점을 넘어서는것이 불규칙조정파동의 특징중 한가지입니다.

 

성립조건

 

엘리어트파이론책에서 보기에는 파동B의 크기는 무조건 A보다는 커야 성립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B의 크기에 따라 C파동의 크기가 변하게 되는데 결과론적으로만 보면 런닝플랫, 혹은 익스텐디드 플랫이라고 하는데 통틀어서 불규칙조정파동이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런닝플랫

 

B파동의 크기가 A파동에 비해 123.6%보다 클 경우에 발생하는 파동이며 이때 파동C의 크기는 파동B를 되돌릴 확률은 무척이나 낮습니다. 그리고 B파동의 크기가 A파동의 1.382를 넘어서는 경우엔 C파동은 B파동을 완전히 되돌리지 못합니다. 요지는 조정은 짧게 오지만  매수세가 강해 그만큼 조정이 약하게 온다는것입니다.

 

 

 

익스텐디드플랫

B파동의 크기가 A파동에 비해 101%~123.6%사이 일 경우에 파동C는 B파동을 완전히 되돌리고 A파동 크기의 161.8%까지 갈수 있습니다. 단 C파동의 크기는 B파동의 1.382를 넘지 못합니다. 말로 하면 참 어려운데 그림으로 표현을 해보도록 할께요

 

 

 

현재 B파동의 크기를 A파동의 1.236으로 잡으면 이런식으로 C파동이 길게 나오게됩니다. 사실 차트에서 흔하게 보이진 않지만 생각보다 많이 보이는게 불규칙 조정파동이기도 합니다. 

 

예외

익스팬디드플랫조정의 경우에도 예외가 있습니다. C파동이 A파동의 1.618 이상 못나온다고 하지만 나오는 경우가 생길수도 있습니다. C파동이 A파동의 1.618배 이상 나왔다면 C파동이 그럼 연장이 되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사실 불규칙조정파동도 어떻게 보면 예외인데 예외에서 또 예외가 나올것까지 고려는 할필요가 있을까 싶기도 합니다. 

 

불규칙조정파동에서는 이정도만 숙지해줘도 차트를 볼때 큰 무리는 없을듯해보입니다. 보통은 7:3 비율 정도로 보시면 되는데 항상 매매할때 주의해야 하는 차트이니 이런게 있다라는것 정도만 알아두시면 될듯합니다.

 

같이 알아두면 좋은정보

 

 

피보나치 되돌림 매매를 이용한 주식단타 잘하는방법

주식으로 해서 돈을 버는 사람은 10%안쪽이라면 단타로 돈을 버는 사람은 걔중에서도 1%내외 일 정도로 자신만의 어떤 특별한 노하우나 기법이 있지 않은 이상 주식단타로 돈을 버는것은 쉽지 않

haymans.tistory.com

 

 

 

abc 지그재그 조정파동 (1) 리딩다이아고날 엔딩다이아고날 정리

엘리어트 파동이론부분에서 손을 놓은지 아마 5년도 더된거 같습니다. 머릿속에 우겨넣고 정말 많이 대입도 해봤었는데 정확한 타점을 잡아서 매매할때도 많았고 엘리어트파동이론이 후행적인

haymans.tistory.com